부동산 실거래가 조회는 부동산 시장분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. 우리가 부동산을 살 때, 팔 때, 혹은 투자할 때 가장 중요하게 참고해야 하는 것이 바로 부동산 실거래가이다. 이번 글에서는 실거래가를 확인할 수 있는 2가지 방법 및 팁에 대해 쉽고 간단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다.

부동산 실거래가 사이트
부동산 실거래가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는 의외로 많다. 대표적으로는 국토부 실거래가 사이트가 있고, KB부동산 시세도 있다. 하지만 오늘 알려드릴 사이트는 이런 사이트가 아닌 좀 더 많은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는 디스코, 밸류맵 사이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. 실제 필자가 현장 업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사이트며, 대다수의 공인중개사들이 이용하는 사이트이기 때문에 이 글을 끝까지 읽는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장담할 수 있다. 그럼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다.
토지, 빌딩, 상가 거래의 시작, 디스코
이 디스코에서는 실거래가 뿐만 아니라, 내가 원하는 지역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지역에 올라온 매물들도 한꺼번에 볼 수가 있다. 더불어 기본 화면에는 거래 금액과 거래된 날짜가 표기되어 있어 주변 거래된 부동산들을 한눈에 쉽게 볼 수가 있다.
또한, 기본적으로 로드뷰 기능이 있어 어떤 부동산인지 사진으로 금방 확인이 가능하다. 공인중개사 정보도 확인할 수 있어 좀 더 신뢰가 가는 부분도 있다.



그리고 토지 정보, 건축물 정보에 대해 모두 나와 있어, 굳이 토지이용계획확인원이라든지 건축물대장을 안 봐도 이 디스코 사이트에서 전부 확인할 수 있다.
경매 물건 및 은행 상담, 그리고 공인중개사 상담도 가능하며, 아파트는 물론 토지, 상가, 빌딩 등 모든 부동산에 대한 실거래가 그래프가 나와 있어 분석하기에 아주 용이하다.
디스코 사이트 바로가기 >
www.disco.re
토지, 빌딩, 상가 거래의 시작, 디스코
토지, 빌딩, 상가 거래 할때는 디스코에서 시작하세요. 거래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요. 디스코에서 지역 최고의 부동산 전문가, 우리동네 공인중개사를 만날 수 있어
disco.re
토지건물 거래는 밸류맵
이 밸류맵 사이트는 좀 더 전문적으로 부동산에 관련한 정보들이 많이 있다. 모든 부동산 실거래가는 물론이거니와 부동산 개발에 대한 정보들도 쏠쏠하게 나와있다.
도시개발 및 토지 개발 등 주변에 일어나는 개발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 부동산 투자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게는 아주 적합한 사이트라고 볼 수 있다. 게다가, 대출 정보도 같이 나와 있어 미리 나의 투자 계획을 짤 수가 있다.



마찬가지로, 토지 정보 및 건물 정보는 기본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최신 부동산에 관한 뉴스나, 내 지역에 관한 뉴스도 한꺼번에 확인할 수가 있다.
밸류맵 사이트 바로가기 >
https://www.valueupmap.com
토지건물 거래는 밸류맵
가장 쉬운 토지건물 매매 방법! 토지, 건물, 빌딩, 공장, 실거래가와 매물, 가설계까지 한번에!
www.valueupmap.com
디스코 vs 밸류맵
디스코와 밸류맵은 서로 같은 듯 다른 스타일의 실거래가 사이트라고 볼 수 있다. 개인적으로 봤을 때 건물에 대한 정보를 좀 더 세세하게 알고 싶으면 디스코가 나을 수도 있고, 부동산 투자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밸류맵이 나을 수도 있다. 각 개인의 환경에 따라 선택하면 되는데, 필자는 사실 두 군데 모두 애용한다.
가끔 실거래가를 확인할 때에 디스코에 아직 업데이트 되지 않은 매물이 밸류맵에 올라온 경우도 있고, 반대로 밸류맵에 없는 정보가 디스코에 올라올 때도 있기 때문이다.
두 가지 적절하게 사용하여 활용한다면, 시너지가 배가 될 것이다.
❓ 건축물대장, 아직도 어떻게 확인하는지 모르신다고요??
건축물대장 무료 열람,발급하는 2가지 방법
우리가 집을 계약할 때 우선적으로 봐야 할 서류 중 하나가 바로 건축물대장이다. 건축물대장이란 건축물에 대한 기본 정보가 모두 나와있는데, 이를 자칫 잘못 확인했다간 부동산 계약 후에 큰
easy-realestate.tistory.com
다양한 부동산 실거래가 사이트가 있지만, 오늘 알려드린 이 두 가지 실거래가 사이트는 실거래뿐만 아니라 기타 필요한 자세한 정보가 함께 나와 있기 때문에 꼭 한 번쯤은 활용해 보길 적극 추천한다. 실제 업무에서도 쏠쏠하게 사용되는 편이니 현직에 종사하는 신입분이라면 자주 사용하여 빨리 터득하길 바란다.